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결혼으로 인한 거주지 이전으로 혼인신고 없이 실업급여 받은후기 : 혼인신고 대신 청첩장

내 일상

by 자몽송이 2023. 3. 16. 14:19

본문

반응형

 

 

결혼으로 인해 먼 곳으로 이사를 가게 되어 다니던 회사로

출퇴근이 어려워져 자진퇴사를 하였을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
저는 혼인신고를 바로 하지 않을 예정이었습니다.

인터넷을 찾아보니 무조건 혼인신고를 해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글과

혼인신고를 안해도 된다는 사람도 있어 혼인신고를 해야하나 고민하던 찰나.

=결론적으론, 고용보험센터마다 기준이 다르다. 혼인신고 없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도 있다.

 

 

 

 

그럼 이전에 결혼을 하며 거주지를 이전하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경우를 확인해봅시다.

 

 


 

 

 

'결혼으로 인한 거주지 이전' 실업급여에 해당하는 경우

 


1) 신혼집과 회사 간 거리가 출퇴근시간 기준 최소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인 경우


2) 다니는 회사에 고용보험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.


3) 결혼, 전입신고, 퇴사 , 실업급여 신청 순으로 진행한 후 한 달 안으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


(고용보험 담당자마다 기준이 약간씩 다를 수 있으니

정확한 필요 서류와 순서는 이주할 지역의 고용보험센터에 전화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)

 

 

 


 

자진퇴사 사직서 제출

 

 

저는 퇴직사유에 ' 결혼 후 배우자와의 동거를 위한 거주지 이전' 이라고 기입했습니다.


퇴사 후엔 다시 연락하는 등의 번거로운 일을 피하기 위해 인사팀에 보낼 사직서에

작은 쪽지를 붙혀 ' 결혼으로 인한 거주지 이전' 사항으로 기입 부탁드린다고 써 제출했습니다.

 

 

퇴사하고 일주일 정도 지나서 퇴사처리가 완료되었습니다.



 

 

퇴사처리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

 

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이직확인서 처리내역확인 ->
첫화면 실업급여 화면에서 -> 넘기면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

 

 


 

혼인신고 없이 신업급여 받는 법

 

 

혼인신고 없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

제가 이사갈 지역의 고용보험센터로 전화를 하여 물어보거나 전화가 안된다면 직접 내방하여 물어보시면 됩니다.





 

저는 통화가 되어 쉽게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.
전화로도 꽤 상세히 물어보시고 답도 친절히 해주셨습니다.

 

 




전화로 상담했을 때 여쭤보셨던 내용

 

1) 현재 결혼을 한 상태인지, 혼인신고를 안했다면 청첩장을 챙겨와주세요.


2) 결혼 후 전입신고 한 뒤, 이사간 지역에서 다니던 회사로 현재 출퇴근중인지

-> 현재 오래걸리며 출퇴근중이라 했습니다.


3) 출퇴근 시간대에 최소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인지

 

이 질문이 끝나고 위 카톡에 적힌 서류들을 준비해서 온라인 교육 수강 후 해당지역 고용보험센터로 직접 내방하시면 됩니다.


 

 

 

고용보험센터 방문 전 '온라인 교육'을 듣고 고용센터 방문하기

 

 

: 워크넷 가입 후 구직신청 -> 고용보험 홈페이지 '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' 듣고 난 뒤 방문할 것

 

 

(수강 후 14일 이내 고용센터 방문하시면 됩니다.)

 

 


 

 이사갈 지역의 고용보험센터마다 다를 수 있으니 꼭 한 번 알아보시고 내방하세요.

 

 

결혼으로 인한 거주지 이전으로 실업급여는 5개월간 받을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